×

뉴스

환경 빙하가 녹으면서 남극대륙이 녹색화되고 있어 기후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3회 작성일 24-10-21 11:03

본문

 

빙하가 녹으면서 남극대륙이 녹색화되고 있어 기후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20241021%EC%9D%B4%EB%AF%B8%EC%A7%80020.png


남극대륙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색은  흰색인데 , 이는 가장 남쪽에 있는 대륙이  일반적으로 얼음과 눈에 묻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일입니다. 전 세계 얼음의 90%가 2.2km(1.4마일) 두께의 층에 집중되어 있어 "흰 대륙"이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환경과학 저널 '프론티어'에 최근 발표된 연구 에 따르면   , 남극대륙의 눈부신 위상은 곧 다른 색깔인 녹색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화하는 역학은 물론 기후 변화에 의해 주도됩니다. 화석 연료를 태우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열은 얼음 반사율 효과로 알려진 과정으로 인해 양극에서 더 빠른 속도로 발생합니다. 수십 년 동안 남극 대륙은 일련의 해양 열파와 얼음 손실 사건으로 인해 흔들렸습니다. 새로운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NASA/USGS(미국 지질 조사국) Landsat 프로그램에서 1986년부터 2021년까지 촬영한 남극 대륙 전체의 보관 사진을 분석하여 1986년의 0.863km2(0.333m2)에서 2021년의 11.947km2(4.613m2)로 식생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면적이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더욱 불길한 것은, 녹화 속도가 해마다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저자들이 지적했듯이, 대륙의 녹화 속도는 2016년에서 2021년 사이에 연간 0.424km2(0.164m2)로, 연구 기간 전체에 걸쳐 연간 0.317km2(0.122m2)의 광범위한 추세에서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얼음 녹음 및 해빙 녹음과 같은 관련 현상에 대한 이전 연구는 충분히  있었지만   , 새로운 논문의 배후에 있는 과학자들은 "이러한 추세는 최근 온난화에 대한 반응으로 냉대기후 생태계에서 녹색화의 더 광범위한 패턴을 반영하며, 남극 반도의 지상 생태계와 그 장기적 기능에 미래에 광범위한 변화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단도직입적으로 선언합니다.

녹는 빙산 Horseshoe 섬 남극터키 과학자들이 터키 과학기술연구위원회(TUBITAK) MAM 극지연구소의 협력 하에 터키 대통령실과 터키 산업기술부의 공동 책임 하에 남극에서 7차 국가 남극 과학 탐사를 진행하는 동안 호스슈 섬에서 녹는 빙산이 보인다. 2023년 2월 26일. (Sebnem Coskun/Anadolu Agency via Getty Images)엑서터 대학의 물리 지리학 수석 강사이자 저자인 톰 롤랜드 박사는 과학자들이 의도치 않게 궁극적인 결론을 예고한 단일 녹색 발견을 한 후 이 연구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롤랜드는 Salon에 "이 연구에서 얻은 우리의 결론은 특별히 행복한 것이 아닙니다."라고 말하며, 그 결과가 과학자들을 "충격"시켰다고 덧붙였다. 롤랜드는 "우리는 믿기 전에 숫자를 여러 번 다시 확인해야 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남극 반도에서 이전에 수행한 작업을 바탕으로, 이 지역의 몇몇 지점에서 채취한 핵심 샘플을 사용하여, 우리는 그곳의 식물이 최근 수십 년 동안 더 빨리 자랐다는 것을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롤랜드가 말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것은 식물 성장의 증가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일어났는가 하는 것이었고, 이것이 우리가 위성 이미지에 의지한 이유입니다. 거대한 공간적 규모에서 이와 같은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과학자들은 논문 덕분에 남극 대륙에 실제로 광범위한 녹화 추세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우리의 최남단 대륙은 실제로  9천만 년 전에 열대 우림으로 뒤덮일 정도로 푸르렀으며 , 당시 이산화탄소 수치는 오늘날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실제로 지구 행성 역사의 더 큰 관점에서 볼 때  남극 대륙은 특히 5천6백만 년 전 에오세 시대 이전 기간 동안 상당 기간 동안 푸르렀습니다 .

하지만 그 모든 것은 문자 그대로 고대 역사입니다. 과학자들은 인간이 초래한 기후 변화가 없었다면 남극 대륙이 오늘날 이 정도로 푸르게 변했을 것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롤랜드는 "식생지 면적은 불과 35년 만에 10배 이상 증가했으며,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녹화가 일어나는 속도가 최근 몇 년 동안 가속화되었다는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위기에 대한 또 다른 경고 신호이지만, 롤랜드는 화석 연료 사용과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있어 "카나리아가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롤랜드는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인간에 의한 기후 변화의 영향이 한계가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 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남극 반도에서도 - 이 가장 극단적이고 외딴 고립된 '황야' 지역에서도 - 풍경이 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우주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남극이 하룻밤 사이에 흰색에서 완전히 녹색으로 변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사실, 그러한 시나리오는 우리의 일생이나 지금 살고 있는 세대의 일생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낮습니다. 최근 녹색화에도 불구하고 남극의 0.12%만이 실제로 식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무성한 삼림 생태계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의 수석 연구 과학자인 Walt Meier는 Salon에 남극 반도에서 새로운 식물을 보게 되어 놀랍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 지역은 가장 북쪽에 있으며 지난 수십 년 동안 가장 많은 온난화를 겪었기 때문입니다.

"툰드라가 관목으로 대체되면서('관목화') 북극에서 이런 '녹화'를 보았습니다." 마이어가 말했다. "관찰된 식생의 양이 여전히 매우 적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약 0.9제곱킬로미터에서 약 12제곱킬로미터로 변했습니다. 증가 비율로 보면 많지만, 12제곱킬로미터는 여전히 매우 작은 지역입니다. 맨해튼 섬 크기의 약 20%에 불과합니다."

남극반도 빙상NASA의 Operation IceBridge는 지난 9년 동안 극지방의 얼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연구해 왔으며 현재 개조된 1966년형 Lockheed P-3 항공기에 탑승하여 얼음 손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서남극 상공에서 9시간 동안의 연구 비행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Mario Tama/Getty Images)

즉,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남극 대륙 한가운데에 떨어진 사람은 거의 확실히 흰색 세계에 떨어졌을 것입니다. 더 큰 문제는 이것이 "반도의 기후가 따뜻해지고 있다는 징후"라는 것입니다. 식생이 늘어나 CO2를 흡수하여 온실 가스를 흡수하지만, 마이어는 "매우 작은 효과이며 북극의 녹화를 포함하더라도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남극 대륙의 빙상과 빙하가 녹는 것을 포함하여 인간[온실 가스] 배출의 큰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는 데는 근접하지 못합니다  . " 라고 덧붙였습니다.

엑서터 대학교 빙하학자

 마틴 시거트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그는 Salon에 이번 연구가 자신과 같은 전문가들이 오랫동안 예측해 온 내용을 확인시켜 주었다고 말했습니다. 즉, 기후 변화로 인해 얼음이 줄어들면서 남극 대륙에서 노출된 표면에 식물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문제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온난화가 성장을 촉진하고 둘째,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노출된 표면이 더 많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라고 Siegert는 말했습니다. "미국에 중요한 것은 남극이 주요 열 흡수원 역할을 하여 지구 전체를 시원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멈추면, 즉 흰색 반사 표면이 더 어두운 노출된 표면으로 바뀌면 열이 반사되지 않고 유지되고 지구가 따뜻해질 것입니다."

한편, 녹색이 증가하면 남극의 토착 생태계에 큰 파괴를 초래할 것입니다.

"제가 예측을 한다면, 반도의 풍경 중 점점 더 많은 부분이 이끼, 지의류, 우산이끼, 균류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생태계에 지배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롤랜드가 말했다. "물론 식물 생명체가 증가함에 따라 토양 형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토종이 아닌 종과 잠재적으로  침입하는 종 의 식민지화 위험  이 상당히 커질 것입니다. 반도가 예를 들어 100년 후에 정확히 어떻게 될지는 말하기 어렵지만, 남극의 환경적 미래가 위험에 처해 있다고 안전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