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환경 전 세계에서 화석 연료 퇴출을 요구하는 글로벌 기후 시위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91회 작성일 23-09-17 10:39

본문

화석 연료 사용 중단을 요구하는 글로벌 기후 시위가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2ed6383d50389050ac578cb0e77304b7_1694914748_7273.png
 


2023년 9월 15일, 브뤼셀 - 환경 운동가들과 우려하는 시민들이 이번 주말 50여 개국에서 거리로 나와 강력한 글로벌 시위를 벌입니다. 이들의 한결같은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국 정부는 기후 위기의 주범인 화석 연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기 위한 긴급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기록적인 홍수, 산불, 가뭄으로 인한 비극적인 손실과 경제적 파괴로 점철된 올해, 파키스탄과 나이지리아에서 미국에 이르기까지 54개국에서 500건 이상의 시위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주최 측은 이번 주말에 전 세계적으로 백만 명 이상이 시위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가 현실화되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국제 기후 시위가 될 것이며, 이는 스웨덴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주도하여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행진에 참여했던 '스쿨 스트라이크' 운동을 떠올리게 합니다.


필리핀 마닐라의 기후 운동가이자 청소년 운동 단체인 '미래를 위한 금요일'의 회원인 미치 조넬 탄은 "이번 시위는 세계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타겟층을 강조했습니다. 화석 연료 산업의 시대가 끝났습니다. 우리는 정당한 전환이 필요하며, 환경 파괴의 원인이 되는 화석 연료를 단계적으로 퇴출시켜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위 주최자들은 각국 정부에 석유와 가스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즉각 중단하고 확장 계획을 포기할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각국 정부는 작년에 화석 연료 산업에 전례 없는 7조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했습니다.


케냐 나이로비에서 활동하는 기후 운동가 에릭 은주나는 "우리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에게 화석연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고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6억 명의 아프리카인들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지역 사회 주도의 재생 에너지에 투자할 것을 요구하기 위해 거리로 나가고 있다"고 말하며 인식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시위는 80여 개국이 석탄, 석유, 가스 사용을 점진적으로 없애기 위한 글로벌 합의를 지지할 예정인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불과 두 달 앞두고 벌어진 것입니다. 화석 연료의 연소는 여전히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지만, 이전 유엔 기후 회담에서는 석탄 발전 사용을 줄이겠다는 약속은 있었지만 단계적 폐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석유와 가스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정부와 빈곤한 지역사회의 생활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화석 연료 기반 에너지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정부가 이 제안에 저항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또한 부유한 국가들은 개발도상국의 저탄소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상당한 자금을 제공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재생 에너지는 운영 비용 측면에서 화석 연료에 비해 더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지역사회는 풍력 발전 단지와 태양광 패널 설치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데 필요한 초기 투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풍부한 태양 에너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의 2%에 불과한 금액이 아프리카에 투자되었습니다.


뉴욕에서는 다가오는 유엔 총회와 수요일 '기후 야망 정상회의'를 위한 지도자 모임에 맞춰 일요일에 약 15,000명이 행진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각국 정부에 배출량 감축 계획을 강화할 것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유엔 보고서는 세계가 위험한 수준의 지구 온난화로 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엄중한 경고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30년까지 석탄 발전량을 대폭 줄이는 등 모든 분야에서 포괄적인 조치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재정 투자를 늘려 청정 에너지 채택과 기온 상승 및 관련 기후 관련 문제에 적응하기 위한 조치를 지원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후시위, #화석연료퇴출, #기후행동, #글로벌기후위기, #재생에너지, #기후정상회의, #UN기후보고서, #환경운동주의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4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