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환경 기후로 인한 이주에 대한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3회 작성일 23-09-17 10:14

본문

극심한 폭염부터 폭우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 변화는 우리의 세계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기록적인 폭염이 유럽 대륙을 휩쓸었고, 그 여파로 산불과 홍수가 발생하여 인명을 앗아가고 광범위한 파괴를 일으켰습니다.


2ed6383d50389050ac578cb0e77304b7_1694913264_1319.png
2ed6383d50389050ac578cb0e77304b7_1694913264_4031.png
2ed6383d50389050ac578cb0e77304b7_1694913264_6538.png
 


한편 중국에서는 태풍으로 인해 휴교령과 대피령이 내려지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했습니다. 남아시아에서는 기온이 상승하고 몬순 시즌이 길어지면서 뎅기열과 같은 모기 매개 질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유엔은 기후 변화에 대한 냉정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파리협정을 통해 지구 온난화에 맞서 싸우기로 약속한 국가들이 제한적인 진전만 이루었다고 밝혔습니다. 금세기 지구 온도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인 2015 파리 협정은 재앙적인 홍수, 가뭄, 폭염을 방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날씨 패턴이 점점 더 불규칙해짐에 따라 기후로 인한 이주의 유령이 크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유엔은 폭우와 가뭄 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이미 "매년 평균 2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자국 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다"고 보고합니다.


기후로 인한 이주에 대한 이해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의 이주 및 이재민 글로벌 책임자인 에제키엘 심페링햄은 "기후로 인한 이주와 이재민은 인도주의 네트워크가 직면한 중대한 도전 과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기존의 위험을 악화시키고 식량 및 물 불안정, 자원 경쟁과 같은 새로운 위험을 야기하여 분쟁과 복합적인 이주를 유발할 수 있는 '위협 승수' 역할을 한다고 기후 난민을 기록하는 단체인 Climate Refugees는 말합니다.


이미 분쟁을 피해 새로운 국가로 피난처를 찾은 사람들에게 기후 변화는 이미 난민들에게 또 다른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잦은 홍수와 계속되는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는 기후로 인한 이주의 복잡성을 잘 보여줍니다.


기후로 인한 이주와 '기후 난민'


많은 기후 이재민이 분쟁을 피해 피난을 떠나고 있지만, 기후 단체들은 '기후 난민'이라는 용어가 제한적이라는 이유로 이들을 '기후 난민'으로 분류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습니다. 국제 난민법은 '기후 난민'이라는 용어를 인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이주는 1951년 난민 협약에 따른 보호를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기후로 인한 이주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누군가를 기후 난민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복잡한 역학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합니다. 사람들의 이주 결정은 기후 변화, 거버넌스 문제, 생계 및 기존 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다 폭넓은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사람들은 어디로 이주할까요?


이주 데이터 포털에 따르면 2022년에 88개 국가 및 지역에서 약 870만 명의 사람들이 재난으로 인해 국내 실향민이 되었습니다. 국내 실향민이 가장 많이 발생한 상위 5개 국가는 파키스탄, 필리핀, 중국, 인도, 나이지리아로, 주로 홍수나 폭풍과 같은 기상 관련 사건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국경을 넘기보다는 자국 내에 머무르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농장과 재산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북부로 향하는 '난민 홍수'에 대한 이야기는 부정확하고 기후 이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기후로 인한 이주에 대한 행동 취하기


기후로 인한 이주가 인도주의적 도전으로 떠오르면서 유엔은 기후로 인한 추가 이주를 막기 위한 대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후 취약 지역의 재조림과 청정 요리 프로그램을 목표로 하는 난민 환경 보호 기금과 같은 이니셔티브는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합니다.


기후 영향이 다른 취약점과 교차하는 고위험 지역사회와 지역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춰 사람들이 이주를 강요당하기 전에 노력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다각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글로벌 협력과 포괄적인 해결 의제가 필요합니다.


전 세계는 기후로 인한 미래의 이주를 방지하고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회복력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강력한 논의에 참여해야 합니다. 이 중대한 문제에 직면하면서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기후 변화는 우리의 즉각적인 관심과 공동의 행동을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기후이동, #기후변화영향, #기후행동, #인도주의적도전, #기후난민, #기후솔루션, #기후회복력, #기후인식, #UN기후보고서, #글로벌대응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4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