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게시판

일반 쑥뜸의 효능 및 효과

페이지 정보

본문

쑥뜸의 효능 및 효과

예로부터 한의학에서는 '일구 이침 삼약(一灸 二鍼 三藥)’이라 말이 있다.
이는 치료를 할 때 먼저 뜸 치료를 실시하고 다음에 침 치료를 하며 마지막으로 약물치료를 시행한다는 말로,
뜸의 효력을 크게 들고 있으며 침과 한약과 더불어 중요한 의술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뜸의 기원은 상세히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중국 최고의 의서인 ‘황제내경’에도 뜸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한약 요법은 남방부의 땅이 비옥하고 식물이 번식하는 양쯔강 유역에서 발달한 데 비해,
토지가 비옥하지 못한 북방부의 황허강 유역에서는
야생하는 쑥류를 제제로 한 뜸과 돌, 금속류에 의한 침술 등이 발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뜸을 뜨는 재료로 쓰는 쑥은 ‘본초경’에는 “따뜻한 성질로 오래 묵은 것 일수록 좋으며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으며,
‘본초강목’에서는 “쑥이 속을 덥게 하여 냉을 쫓으며 습을 덜어준다.
기혈을 다스리고 자궁을 따뜻하게 하며, 모든 출혈을 멎게 한다.
배를 따뜻하게 하고 경락을 고르게 하며 태아를 편하게 한다.
또 복통, 곽란으로 사지가 틀리는 것을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뜸을 뜨는 주재료인 쑥은 양기를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인 단오(음력 오월 오일) 이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후 줄기를 버리고 잎만 따서 절구에 곱게 빻은 후 체로 쳐서 먼지와 찌꺼기를 걸러 내고
다시 빻아 손으로 비벼 솜과 같이 결백한 것만 취해 다시 불에 볶아 습기를 완전히 날린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쑥뜸의 효능


1. 면역 증강
​쑥뜸을 경혈 상에서 뜨게 되면 그 화력이 피부를 통해 경락으로 통하여 기혈을 따뜻하게 소통시켜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인데,
피부의 특정 부위는 오장 육부(五臟六腑)나 신경계통과 관련이 크다.
뜸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면 신경이나 조직에 온열자극을 주므로 뇌척수 신경이나 자율신경 계통에 긴장도나 혈구 변화를 일으킨다.
실제로 쑥뜸을 하였을 때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의 증가를 유도하여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살균 효과 및 진통 효과가 있음은 입증이 되었다. 


2. 통증 완화
속담에 ‘침은 휘지고 뜸은 살찐다’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뜸은 침에 비해 만성적이고 허한 증상에 많이 쓰게 된다.
그 응용 범위는 매우 넓은데 그 중 상습적인 두통이나 신경통 등의 각종 통증, 피부병 등에 더욱 효과가 있다.  


3. 부인병에 탁월한 효과
특히 여성들에게 쑥뜸은 매우 좋은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열 명의 장부의 병을 고치기보다 한 명의 여성을 고치기가 더 어렵다고 하였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음적으로 기의 울체나 냉증으로 인한 병이 많고 만성적인 경우가 많아
기혈을 소통시키고 찬 기운을 몰아내어 양기를 북돋우는 쑥뜸은 여러 여성 질환에는 효과가 좋을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주로 여성의 월경통이나 냉증, 자궁 질환에 이러한 쑥뜸이 많이 응용되어진다. 

쑥뜸 뜰 때 주의해야 할 점


이렇게 여러 장점을 가진 쑥뜸도 주의를 해서 써야하는데 우선 뜸쑥의 분량은 처음에는 적은 양으로 시작하여 점차 늘려 나가며,
개별적인 체력, 체질, 병정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 급성 질환의 경우는 뜸을 하는 기간을 며칠 내로 줄이며 만성 질환은 수주에서 수 개월간 지속한다.
허약한 경우나 노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뜸쑥을 작게 하여 떠야 하고 공복 시나 식사 직후에는 삼가고 화상에 주의해야 한다.
‘침구대성’에서는 뜸을 뜨고 난 후의 조리법에 대해 “뜸 뜬 후 차를 마시지 말고, 방에서 누워 쉬면서
여러 일을 멀리 하고 평상심을 유지하고, 찬 음식, 과일을 피하고 오직 위를 도울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여 기혈을 소통시키는 것을 도우라”고 하였다.  


과거에는 쑥을 직접 피부에 대고 뜸을 떠서 반흔이 남아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그러한 방법으로 쑥뜸을 해왔다.
이렇게 작은 화상을 일으키면 혈청면역학적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으므로 무시할 수는 없는 방법이나,
요즘과 같이 외모를 중시 여기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세태에서 마냥 그러한 방법을 유지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요즘에는 피부와 쑥 사이에 황토나 소금 등을 대는 간접적인 방법을 많이 쓰게 된다.
또한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쑥뜸이나 연기나 화상을 피할 수 있는 전기쑥뜸기도 나와 더욱 편리하게 실생활에서 쑥뜸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쑥뜸의 효과 


1. 소화기관의 기능을 향상시킴 - 만성소화불량, 식체, 식욕부진, 역류성식도염 / 구역감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무력증 / 과민성대장증상, 만성설사, 변비  


2. 부인과질환에 특효 - 생리불순, 생리통, 무월경, 소량월경, 월경과다, 경간기출혈 / 냉, 대하, 자궁 및 질출혈, 기타 자궁관련 질환 / 폐경기 및 폐경기 증후군  


3. 기혈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 - 순환장애로 인한 중풍예방 / 혈액순환 개선 - 손, 발, 아랫배가 차가울 때. 손발이 저릴 때,
   피부가 매끄러워지며 기미, 주근깨가 옅어짐 / 경직된 근육들을 풀어줌 - 목, 어깨, 등, 허리 통증 개선  


4. 정기를 키워주며, 면역력을 높여주는 작용 - 면역력 강화로 인한 노화의 지연 / 만성피로의 회복 및 원기 강화 / 골다공증을 예방  


5. 인체의 독소를 배출해주는 작용 - 내장 지방의 분해와 소화기능 향상으로 복부비만에 특효 / 암세포의 전이, 확산을 막아주며
   암으로 인한 통증을 줄여줌 / 각종 노폐물로 인해 탁해진 피를 맑게 해줌  


6. 심신을 안정시키는 작용 - 마음을 안정시키고 머리가 맑아지게 하는 효능 / 가슴속의 답답함과 울화를 풀어줌 / 고혈압, 저혈압 같은 혈압의 불균형을 조절해준다.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벌사랑님의 댓글

no_profile 벌사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게시물 검색
Total 450건 1 페이지
  • RSS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공지 공지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9 0 04-19
공지 공지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8 0 08-24
448 기타정보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 0 06-27
447 기타정보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06-27
446 기타정보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 0 06-22
445 공지사항 no_profile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 0 06-22
444 일반 no_profile 벌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 0 06-17
443 일반 no_profile 꿀벌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 0 06-14
442 일반 no_profile 킹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5 0 06-08
441 일반 no_profile 8e42088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0 0 06-06
440 일반 no_profile Draxl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9 0 06-03
439 일반 no_profile 류우호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2 0 06-01
438 일반 no_profile 꿀벌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1 0 05-30
437 일반 no_profile 란지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2 0 05-28
436 꿀팁 no_profile 벌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9 0 05-26

검색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4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