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사항

공지사항 산꼬리풀의 재발견! 꿀 생산량 우수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69회 작성일 24-07-21 11:45

본문

산꼬리풀의 재발견꿀 생산량 우수해

-국립산림과학원산꼬리풀 1ha에 꿀 152kg 생산꿀샘식물로 다양한 활용 기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조경식물과 약용작물로 각광받고 있는 산꼬리풀의 꿀 생산성을 평가한 결과대표적인 꿀샘식물인 유채보다도 꿀 생산량이 2배 정도 많은 우수한 꿀샘식물임을 밝혔다.

 

국내 특산식물인 산꼬리풀은 전국 산지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7~8월에 벽자색의 꽃이 핀다관상 소재로 널리 이용될 뿐만 아니라 현재 천식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지만꿀샘식물로써 정량적 가치평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산림과학원 밀원자원연구팀은 산꼬리풀 1본에서 약 871g의 꿀 생산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식재밀도 17.5/m2을 고려해 1ha에 17만 5천 본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약 152kg의 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하였다이는 대표적인 꿀샘식물인 유채보다 약 2배 많은 양이다.

 

이와 더불어 산꼬리풀의 화밀(꽃꿀)에 20종의 아미노산이 있으며이중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포함된 사실도 밝혀냈다페닐알라닌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 중 하나로꿀벌에게 꽃꿀의 매력을 높이고 섭식을 자극해 결과적으로 화분매개 빈도를 증가시킨다따라서 수분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아미노산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 받아 식물 분야 전문학술지인 플랜츠(plants, IF=4.0) 13권 3호에 발표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특용자원연구과 나성준 연구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유용 산림작물의 새로운 가치를 밝힌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하며“앞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갖는 밀원식물을 지속해서 발굴해 양봉산업과 임업의 상생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게시물 검색
Total 164건 6 페이지

검색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그린키퍼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광주, 아00471 등록일 2023년 9월 13일 발행인 김찬식 편집인 김찬식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연락처 010-8233-8864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