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사항

기타정보 가을감자, ‘통 씨감자’로 심어야 썩지 않고 싹도 잘 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41회 작성일 24-08-06 09:46

본문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올해 감자 주산지의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지난해 심은 가을감자 생산량이 전년 대비 7.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상황에서 감자를 절단해 심으면 통으로 심을 때보다 출현율*이 떨어져 생산량 감소에 더욱 영향을 줄 수 있다.

 출현율종자(씨감자)를 파종한 후 지표면을 뚫고 나오는 개체 비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c8035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8pixel, 세로 481pixel

절단하지 않은 통감자

 

 가을감자는 8월 중하순 늦장마가 오는 고온다습한 시기에 심기 때문에 봄재배처럼 씨감자를 절단해 심으면 절단 부위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 수 있다또한고온다습한 토양에서는 세균 활동도 왕성해 감자 상처 부위로 병원균이 침입해 부패를 일으키기도 한다.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가 지난해 가을감자 출현율 비교실험을 한 결과절단 감자 출현율은 64.1%에 그쳤지만통으로 심은 감자는 97.4%로 높았다.

 

 총 수확량도 절단 감자는 헥타르(ha)당 18.4통감자는 이보다 7


씨감자는 시설재배에서 5월 중순에 수확한 휴면기간이 긴 품종 또는 봄재배에서 6월 중순 이전에 수확한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을 택한다크기는 3060그램(g) 정도가 적당하다.

 

 이때 씨감자의 휴면타파(잠 깨우기)가 되지 않았다면 싹이 늦게 터 초기 출현율이 낮아지고재배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수확량이 떨어진다따라서 수확기를 고려한 품종 선택이 중요하다휴면기간이 짧은 ‘은선’‘금선’ 등의 품종은 가을재배 시 별도의 휴면타파 처리 없이도 재배할 수 있다.

 

 가을감자는 자라는 기간이 짧아 반드시 싹을 틔워 심어야 한다장마 후 땅이 많이 습한 상태라면 물길 정비를 철저히 해 흙이 적당히 말랐을 때 심는다심은 뒤에는 흙으로 5~10cm가량 충분히 덮어줘야 해가림 효과를 볼 수 있고지온 상승과 건조폭우로부터 씨감자를 보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조지홍 소장은 “가을감자는 통 씨감자로 심어야 8월 고온과 장마에도 썩지 않고 싹이 잘 난다싹틔우기와 재배지 관리에도 힘써야 수확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2023 가을감자 작황 비교

(단위: %, 자료농업관측센터)

구분

전년 대비

전월 대비

좋음

비슷

나쁨

좋음

비슷

나쁨

내륙

21.4

35.7

42.9

15.4

46.2

38.5

제주

25.0

41.7

33.3

16.7

54.2

29.2

 ○ 주산지 기상 여건 변동성 확대로 작황 전년 대비 부진

  - (강수량) 9월 중순 집중호우 → 10월 가뭄 → 11월 강수량 예년보다 증가

  - (기온파종기~11월 상순까지 고온 지속 → 11월 중순 저온 급변

 2023 가을감자 생산량 전망

(자료통계청농업관측센터)

구분

재배면적(ha)*

단수(kg/10a)

생산량()

2023

1,805

1,381

24,935

2022

2,093

1,490

31,195

평년**

1,933

1,514

29,265

증감률

전년 대비

-13.8

-7.3

-20.1

평년 대비

-6.6

-8.8

-14.8

*2023년 재배면적은 통계청 발표치, 2023년 단수 및 생산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망치

**평년 생산량평년 재배면적은 2018~2022년의 최대최소를 제외한 평균

 

 ○ 가을감자 생산성 1,381kg/10a로 전년 대비 7.3% 감소평년 대비 8.8% 감소

 

 감자 절단 여부에 따른 출현율  총수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2pixel, 세로 452pixel 

(금선 품종식량원, 2023)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게시물 검색
Total 164건 5 페이지
공지사항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104 공지사항 1425 08-06
103 기타정보 388 08-06
102 기타정보 317 08-06
101 기타정보 422 08-06
100 지역사업 480 08-06
99 이벤트 199 08-06
98 기타정보 331 08-06
97 기타정보 348 08-06
96 공지사항 1551 08-06
열람중 기타정보 242 08-06
94 기타정보 274 08-06
93 기타정보 261 08-06
92 공지사항 1174 07-21
91 공지사항 565 07-21
90 공지사항 368 07-21

검색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그린키퍼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광주, 아00471 등록일 2023년 9월 13일 발행인 김찬식 편집인 김찬식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연락처 010-8233-8864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