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환경 격차 해소: 아프리카 기후 정상회의, 부채와 녹색 개발에 대한 형평성 촉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80회 작성일 23-09-07 19:28

본문

아프리카 기후 정상회의에서 미국 정부의 기후 특사인 존 케리는 기후 부채의 "극적이고 불공정한" 부담을 인정하면서 시급한 기후 부채 문제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그는 기후 변화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세계 20개국 중 17개국이 아프리카에 있으며, 미국을 포함한 상위 20개 부유한 국가가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무려 80%를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349fdbf5317e733246d254506998b8b2_1694082511_1773.png
 


케냐 대통령의 탄소세 제안에 대해 케리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직 구체적인 탄소 가격 책정 메커니즘에 대해 약속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케냐의 윌리엄 루토 부통령은 아프리카의 54개국이 산업화 이전에 친환경화를 우선시해야 하며, 부유한 국가들과는 다른 길을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아프리카 경제를 지속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것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 세계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실현 가능하고 공정하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주요 연사들은 기후 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부유한 국가들이 매년 1,000억 달러를 지원하겠다는 약속은 아직 이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루토는 정상회의의 선언이 모든 당사국이 약속을 지킬 것을 강력히 촉구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차기 유엔 기후 회의를 개최할 예정인 아랍에미리트는 아프리카의 "청정 에너지 잠재력"에 45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아프리카는 전 세계 재생 에너지 자원의 60%와 재생 에너지 및 저탄소 기술에 필수적인 광물의 30%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상회의의 핵심 목표는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을 희생자에서 적극적이고 번영하는 파트너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에티오피아의 사흘레-워크 제데 대통령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열대우림과 생물 다양성 등 아프리카의 상당한 자산을 고려할 때 아프리카의 GDP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아프리카는 자연이 풍부하고 현금이 부족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개회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화석 연료에 대한 분열이 앞으로의 토론에서 드러날 것입니다.


아프리카개발은행의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는 아프리카가 재생 에너지원과 함께 유럽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천연가스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우리에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반대로 루토 부통령은 화석 연료에 대한 '중독'을 비판하며 케냐가 현재 에너지의 90% 이상을 재생에너지에 의존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화석 연료에 대한 중독을 끊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화석 연료 보조금에 대한 전 세계 지출은 2022년에 무려 7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위원회 위원장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국내 사용과 수출을 위해 충분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아프리카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몇몇 국가는 여전히 화석 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남아공의 석탄 화력 발전소는 문제에 직면해 있고, 나이지리아의 니제르 델타는 석유 시추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 아프리카 도시는 세계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곳 중 하나로 꼽힙니다. 우간다와 탄자니아의 토탈에너지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는 장애물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이집트, 산림이 풍부한 콩고 등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국 지도자들이 이번 정상회의에 불참했습니다.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자 아프리카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자 채권국인 중국도 주요 연사 중 눈에 띄게 빠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기후 변화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과 전 세계 국가들의 공동 책임을 강조하면서 기후 변화의 결과에 대처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4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