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키퍼 뉴스

환경 반려견 놀이터, 도시 공존의 시험대에 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7-13 12:12

본문

반려견 놀이터, 도시 공존의 시험대에 서다

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39739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zR4NNP6SpGyCjTV9e3tQHcV8MMs%3D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반려견 놀이터가 빠르게 늘고 있다. 2015년 2곳이었던 서울 내 반려견 놀이터는 2025년 6월 기준 16곳으로 8배 증가했으며, 전국적으로도 2023년 기준 123곳에 달한다. 이는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증가와 함께 반려견의 복지와 사회적 갈등 완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진 결과다.

반려견 놀이터는 반려견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반려견과 반려인 모두의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한다. 또한, 전용 공간이 마련되면서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의 갈등이 줄고, 반려견의 사회성 향상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이용자 설문조사에서 문제행동(짖음, 공격성, 분리불안 등)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반려견 놀이터의 확산과 함께 소음, 악취, 배변 문제, 안전사고 등 생활환경 침해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NIMBY(기피시설) 현상이 발생해 시설 설치가 무산되거나 외곽에 조성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관리 인력 부족과 운영 미흡으로 인한 사고 발생 등도 문제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시설 확대보다는 지역 여건에 맞는 입지 선정, 주민 의견 수렴, 관리 인력 확보, 체계적 운영 시스템 구축 등 종합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기사 요약

1. 반려견 놀이터의 급증

서울시 내 반려견 놀이터는 2015년 2곳에서 2025년 6월 기준 16곳으로 10년 새 8배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2023년 기준 123곳에 달하며,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가 주요 배경이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 비율은 28.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 긍정적 효과

  • 스트레스 감소: 반려견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놀 수 있어 반려인과 반려견 모두 스트레스가 줄었다는 평가가 많다.
  • 갈등 완화: 전용 공간이 생기면서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의 갈등이 줄고, 안전하게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 동물복지 및 사회화: 반려견의 사회성 향상과 문제행동(짖음, 공격성, 분리불안 등) 감소 효과가 나타난다.
  • 커뮤니티 형성: 반려인들 간의 소통과 유대 형성의 장이 되고 있다.

3. 부정적 이슈 및 갈등

  • 생활환경 침해: 일부 주민들은 소음, 악취, 배변 문제 등 생활환경 침해를 호소한다.
  • NIMBY 현상: 주민 반발로 인해 놀이터가 기피시설로 인식되고, 실제로 강남구, 서초구 등에서는 주민 반대로 시설 설치가 무산된 사례가 있다.
  • 입지 문제: 주민 반발을 피하기 위해 외곽이나 인적 드문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 운영 미흡: 관리 인력 부족, 이용수칙 미준수, 사고 발생(예: 개물림 사고) 등 운영상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4. 정책적 제언

전문가들은 단순히 시설 수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 지역 여건에 맞는 배치
  • 이용자 간 갈등 최소화
  • 관리 인력 확보
  • 입지 기준 마련
  • 사전 주민 협의 등
    종합적 기준과 운영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FAQ (자주 묻는 질문)

Q1. 반려견 놀이터란 무엇인가요?

A. 반려견이 목줄 없이 자유롭게 뛰놀 수 있도록 마련된 공공시설로,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 갈등 완화, 반려견의 사회성 향상 등 다양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Q2. 왜 반려견 놀이터가 늘어나고 있나요?

A.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증가하면서 공공시설 수요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서울시의 경우 10년 새 8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Q3. 주민들은 왜 반려견 놀이터에 반대하나요?

A. 소음, 악취, 배변 문제, 안전사고(개물림 등), 생활환경 침해 우려 등으로 인해 일부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시설은 설치가 무산되기도 합니다.

Q4. 운영상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A. 관리 인력 부족, 이용수칙 미준수, 사고 발생 등 운영 미흡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놀이터에서는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 문제행동이나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Q5. 앞으로의 개선 방향은?

A. 단순한 수적 확대보다는 지역 특성에 맞는 입지 선정, 주민 의견 수렴, 체계적 운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습니다.


  • #반려견놀이터
  • #도시공존
  • #동물복지
  • #환경갈등
  • #펫티켓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그린키퍼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광주, 아00471 등록일 2023년 9월 13일 발행인 김찬식 편집인 김찬식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연락처 010-8233-8864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