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키퍼 뉴스

양봉 꿀벌 사육은 이로운 것보다 해로운 것이 더 많은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7-07 10:16

본문

꿀벌 사육은 이로운 것보다 해로운 것이 더 많은가?

관리되는 꿀벌 벌집이 늘어나면서 야생 벌과 나비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꿀벌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않은데, 양봉업이 다른 벌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까요?

꿀벌, 나비, 박쥐, 벌새 등 수분매개자 종의 3분의 1이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감소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벌과 나비 10종 중 1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

수분작용(식물 번식에 필수적)이 없다면 많은 식물 종이 감소하고 결국 사라지게 되어 식량 안보가 위험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아몬드, 사과, 커피, 딸기는 꿀벌이 수행하는 필수적인 수분 작업에 의존하는 식품 중 일부입니다.

꿀벌은 인간이 길들일 수 있기 때문에 종종 '관리되는 수분매개자'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분매개자는 야생이거나 '관리되지 않은' 것으로, 여기에는 20,000종 이상의 다양한 벌, 파리, 나비, 나방, 말벌, 딱정벌레, 벼룩, 새, 박쥐 및 기타 척추동물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야생 꿀벌과 나비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반면, 유럽 연합의 꿀벌 벌집 수는  꾸준히 늘어나면서 EU는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꿀 생산국이 되었습니다.

 동물의 수분매개로 인한 EU의 농업 생산량은 매년 약  50억 유로 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

야생 수분매개자가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정부간 과학 정책 플랫폼에 따르면 토지 이용 변화, 집약 농업, 살충제, 오염, 침입종, 전염병 및 기후 변화는  수분매개자에게 가장 큰 위협 입니다.

그러나  2023년  캐나다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도시 양봉으로 인해 꽃가루 공급이 감소하고 야생 꿀벌 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프살라 대학교 생태 식물학 교수인 마리오 발레호-마린은 "근처에 꿀벌이 많으면 야생 수분매개자와 심각한 경쟁이 벌어진다"고 말했다.

도냐나 생물학 연구소의 연구원인 이그나시 바르토메우스는 "야생 꿀벌은 매우 까다로워서 어떤 꽃에도 가지 않고, 자신에게 적응된 꽃에 가고, 다른 종은 다른 꽃을 찾기 때문에 그런 일이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꿀벌 사육자들이 잘못된 벌을 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바르토메우스는 유로뉴스에 "꿀벌은 살충제와 병원균 등 많은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유럽의 꿀벌 벌집 수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며,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는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생태학자들은 양봉이 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에이 2024년  Nature Ecology & Evolution 저널에 발표된 연구  에 따르면 야생 수분매개자를 잃는 것은 꿀벌을 잃는 것보다 식물 번식에 더 큰 해를 끼친다고 합니다.

바스크 기후 변화 센터의 이케르바스크 연구 교수인 아인호아 마그라흐는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야생 식물 종의 85%와 우리가 소비하는 작물의 70%(가장 영양가 높은 작물 포함)가 열매를 맺기 위해 수분매개자에 의존합니다. 이러한 수분매개자를 잃게 되면 지구상 식물 다양성의 상당 부분도 잃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많은 육상 먹이 사슬의 기반이 됩니다."

"꽃가루 매개자를 구하기 위해 상업용 꿀벌 벌통의 수를 늘리려는 캠페인을 본 적도 있습니다. 이는 새의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더 많은 양계장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라고 바르토메우스는 유로뉴스에 말했습니다.

꿀벌 사육의 부정적 영향은 여전히 ​​과학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각 지역의 특정 환경적 맥락과 꽃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옥스포드 꿀벌 연구소의 전 꿀벌 연구원인 라켈 테이셰이라 드 소자는 양봉이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소규모 농촌 지역 사회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렇다면 야생 수분매개자를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그린키퍼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광주, 아00471 등록일 2023년 9월 13일 발행인 김찬식 편집인 김찬식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연락처 010-8233-8864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